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모각코#5]계획 오늘 모각코 계획은 도커 컴포즈를 이용하여 돔저지를 올리고, 에러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번 모각코도 연구실 일으로 대체되었다. 더보기 [모각코#4]결과 ATmega328은 아두이노에 들어가는 마이크로컨트롤러이다. 마이크로컨트롤러는 플래시 메모리, SRAM, EEPROM을 가지고 있어서 자체적으로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한다. ATmega328의 경우 검색해봐도 많이 나오듯 다음과 같은 사양을 가지고 있다. 항목내용동작 전압1.8~5.5V비트8입출력 가능 핀23개플래시 메모리32KbyteSRAM2KbyteEEPROM1Kbyte동작 주파수0~20MHzADC 채널6개PWM 채널6개 컴퓨터는 폰 노이만 구조이지만, ATmega328은 프로그램 메모리와(플래시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가(SRAM) 다른 위치에 저장되는 하버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플래시 메모리에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므로 프로그램에서 임의의 값을 전원이 꺼진 후에도 저장하기 위해 사용할 수 없으나, E.. 더보기 [모각코#4]계획 지난 모각코 때는 연구실 일이 바빠서 제대로 진행하지 못했다. 이번 주에도 계획을 변경해야 할 듯 하다. 이유는, 되는 줄 알았던 SD카드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이 고장나 있었고, 새로 주문한 블루투스 모듈과 SD카드 모듈이 안 도착했으며, 아두이노를 사용하기보다 ATmega를 직접 사용하는 것이 낫겠다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그렇게 되면 지금까지 1,2회차에서 구현한 코드를 모두 버리게 되지만, 내구성이나 비용, 유지보수 측면에서 더 나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오늘 목표는 아트멜 스튜디오와 아두이노로 배우는 atmega328 프로그래밍을 읽고 ATmega328에 대해 공부하는 것이다. 더보기 [모각코#3]결과 docker-compose를 이용하였으나, 아무것도 완성되지 않았다.. 더보기 [모각코#3]계획 블루투스 모듈이 아무래도 고장난 듯 싶다. 따라서 기존의 계획을 수정하여, 이번 모각코에서는 그냥 연구실 관련 공부를 하려 한다. docker-compose를 이용하여 domjudge 실행하는 것이 오늘의 목표이다. 더보기 [모각코#2]결과 결과 포스팅을 깜빡했다. 결과적으로, 거의 세미나 준비만 했다. 세미나 자료에는 VPN과 Proxy의 목적 및 장단점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오늘 진행한 아두이노 프로젝트는, 계획 1, 2(의 절반)이다. 깃헙 주소는 https://github.com/orehonyah/Arduwinker이며, 현재 2번 핀에 GND를 꽂으면 작업을 pause하여 깜빡임이 멈추지만 랜덤하게 한 번씩 동작한다. 아마 아두이노 및 C++에 대한 이해가 모자란 탓으로 잘못 코딩한 것 같다. 더보기 [모각코#2]계획 지난 모각코에서 아두이노에 작업 큐를 만드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당시에 목표했던 만큼 진행되지 않아 이번 시간에 작업 큐 구현 완료 및 큐에 등록/등록해제/작업 일시정지 기능을 만들려고 한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작업 큐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마다 작업 실행 신규 작업 등록/일시정지 상태/삭제 기능 구현 아두이노에 Interrupt 기능이 있다??? 인터럽트 한번 써보기 3번은 최근에 임베디드 관련 학과에 다니는 친구로부터 전해들은 놀라운 소식으로, 이번 기회에 한번 써보려 한다. 그리고, local 환경에서의 VPN과 Proxy에 대한 포스팅도 함께 진행하려 한다. 내일 연구실에서 첫 세미나 준비를 해야 하기 때문에.. ㅠ 더보기 [모각코#1]결과 계획 "계획"게시물에서와 같이, 이번 주제는 Arduino에서 작업 큐를 만들어 여러 작업을 등록하고, 제거할 수 있게 하자는 것이었다. 구현한 코드에서는 큐에 번호를 가진 작업이 등록되고, 순차 실행되며 다른 작업에 의해 대기 상태로 전환될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만 C++ 문법에 익숙하지 못한 관계로 조금 더 virtual class 및 작은 클래스들을 만들려고 했다가 현재 오류로 코드는 포스팅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었다. 시간이 정해져 있는 모각코의 특성 상 안타깝게도 미완성으로 포스팅을 마무리하지만, job을 이용하여 깜빡이게 만든 아두이노 사진을 첨부하고 주말 동안 코드를 완성시켜 설명 포스팅을 링크하도록 하겠다. 더보기 [모각코#1]계획 1회차 Arduino Job Queue 아두이노는 라즈베리파이와 달리 운영 체제가 탑재되지 않는다. 따라서 아두이노 IDE에서 빌드한 바이너리 파일을 그대로 플래시에 기록한 후, 기록된 내용을 계속 반복 실행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비동기적으로 입/출력을 받아야 하는 경우 loop 함수 안에 Serial 혹은 gpio로부터 값을 읽어 오는 코드를 넣어야 한다. 이 경우 코드의 가독성이 떨어지며, 모듈화에도 불리하다. 따라서 최대한 가벼운 Job Queue를 구현하여 각 Job을 독립적으로 불러와 일정한 시간에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목표 : 아두이노 Job Queue 구현하기 시간 : 2:00 ~ 5:00 준비물 : 아두이노 MEGA 2560, LED 한 개, 전선 한 개 더보기 [Tensorflow #4] cost 최소화 이 내용은 Sung kim님의 강의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tensorflow 2.x 버전이 2019년 12월에 나왔다고 합니다. 아래의 코드는 1.x버전입니다. %pylab inline import tensorflow as tf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X = [1,2,3] Y = [1,2,3] W = tf.placeholder(tf.float32) # Our hypothesis for linear model X * W hypothesis = X * W # cost/loss function cost = tf.reduce_mean(tf.square(hypothesis - Y)) # Launch the graph in a session sess = tf.Session()..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